학교 수업
-
Internet3. CSS학교 수업/인터넷프로그래밍 2020. 5. 14. 17:42
CSS(Cascading Style Sheets) - HTML 등의 마크업 언어로 작성된 문서가 실제로 웹사이트에 표현되는 방식(스타일)을 정해주는 언어 - HTML에 디자인 요소를 욱여 넣다 보니, HTML의 본연의 목적인 구조화된 문서가 아닌 디자인 적인 문서가 되어 버림. 그래서 디자인적 요소를 따로 전담하기 위해 만들어진 언어 - 장점 : 작성이 쉬움, 변경이 쉬움 - 문법 선택자(selector)와 선언부(declarative)로 구성 선택자 : CSS를 적용하고자 하는 HTML 요소보통을 tag 단위로 적용된다. tag별 다른 style을 적용하고 싶은 경우는1. 각각의 요소에 고유한 ID속성을 이용: 자유롭게 이름 부여 가능, 문서 내에서 요소별 유일한 값으로 특정 요소의 이름 붙이는 것에 ..
-
Internet2. HTML학교 수업/인터넷프로그래밍 2020. 5. 13. 18:46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 www서비스에서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마크업 언어 - www를 통해 서비스하는 모든 내용은 HTML로 표현되어야 한다. Hypertext? - 노드(node)와 링크(link)로 구성 노드는 문서고, 링크는 문서를 서로 연결하는 통로 -> 링크를 통해 서로 다른 문서 오가며 정보를 얻고, 필요할 경우 자신이 아는 정보를 문서로 만들어 다른 문서와 연결 가능 - 대표적인 예가 위키백과 Markup Language? - 문서가 화면에 표시되는 형식을 나타내거나 데이터의 논리적인 구조를 명시하기 위한 규칙들을 정의한 언어 - 데이터를 기술한 언어로, 프로그래밍언어와는 차이가 있다. www? World Wide Web,w3 -> ..
-
Internet 1.web & URI학교 수업/인터넷프로그래밍 2020. 5. 13. 18:30
인터넷 프로그래밍 Internet - 전 세계에 걸쳐 원거리 접속이나 파일 전송, 전자 메일 등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시스템 Web -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들을 통해 사람들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전세계적인 정보 공간 - 인터넷에서 HTTP 프로토콜, 하이퍼텍스트, HTML 형식 등을 사용하여 그림과 문자, 멀티미디어를 교환하는 전송 방식 - Web의 흐름 1) 특정 URI로 서버에 접근하여 resource를 요청 2) Server에서는 필요한 정보가 있는지 서버의 저장소를 통해 확인 3) 저장소에서 추출한 정보를 Server가 받아서 client에게 보내줌 4) Client는 Server가 보내준 정보를 받음 5) 사용자가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정해진 UI의 형태..
-
OS의 second storage structure(disk)학교 수업/OS 2020. 5. 12. 14:18
Disk : 컴퓨터의 보조 기억 장치, 비휘발성 ex) 하드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등 1. 디스크의 구조(disk structure) 1) logical block : 디스크의 외부에서 보는 디스크의 단위 정보 저장 공간 주소를 가진 1차원 배열로 인식을 하며, 정보를 전송하는 최소 단위 Logical block은 물리적인 디스크에 매핑된 위치 2) sector : 디스크 내부에서 디스크를 관리하는 최소 단위 sector 0은 최외곽 실린더의 첫 트랙에 있는 첫번째 섹터 track(데이터 저장 공간)의 일부를 sector라고 한다. 2. 디스크 관련한 시간들 1) 탐색시간(seek time) : 헤드를 해당 데이터가 존재하는 트랙이나 실린더 위에 위치시키는 소요 시간 (disk arm의 head)2) 회..
-
OS의 파일시스템?학교 수업/OS 2020. 5. 10. 23:11
OS의 자원관리 기능 중 프로세스 관리, 메모리 관리를 이전 포스팅들에서 다뤘고이제는 파일관리(파일시스템, 파일 및 디렉터리 생성)에 대해 보겠다. File System(파일시스템)- 컴퓨터 사용자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생성하는 정보를 파일이라는 단위로 저장&관리하는 운영체제의 서브시스템, 사용자와 보조기억장치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 1. 파일 시스템의 기능 1) 사용자가 파일을 생성, 수정,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2) 여러 사용자가 파일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3) 불의의 사고에 대비한 백업과 복구 능력이 있다. 4)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 간의 파일 전송 담당한다. 5) 각 응용에 적합한 구조로 파일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2. 파일시스템의 파일관련 작업 - 파일시스템이 ..
-
OS의 메모리관리2학교 수업/OS 2020. 5. 9. 18:57
Virtual memory(가상메모리) - 한정된 physical memory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를 활용해 더 많은 메모리를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 - virtual memory에서 paging 기법을 사용할 때 거의 demand paging 기법으로 구현된다. Demand paging - swapping + paging - 실제로 필요한 page만 물리 메모리로 가져오는 방식 -> physical memory의 여유공간이 얼마나 되는지 고민할 필요 x 프로그램이 전체 다 메모리에 올라오는 것일 아니라, 동시에 많은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올려 작업 수행 가능 한꺼번에 올리는 소스의 양이 적어 disk와 memory간 I/O작업속도 빨라짐 1) Valid-invaild bit를..
-
OS의 메모리 관리학교 수업/OS 2020. 5. 8. 17:29
이전에는 OS의 자원관리 기능 중 프로스세스관리(스케줄링, 동기화, 교착상태해결)에 대해 배웠고, 이제는 자원 관리 기능 중 기억장치 관리에 대해 배울 것이다. 그 전에 알아야 할 몇 가지 배경들이 있다 1. 운영체제는 각 프로세스들을 메모리 각각의 공간에 할당하고,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에 접근하는 것을 막는다. 메모리에 프로세스가 올라가 있는 상태 그림 -> 메모리에서 프로세스 시작 위치를 저장하는 base register -> 프로세스에게 할당된 메모리 크기 저장하는 limit register 두 개의 레지스터 값을 통해 프로세스들의 메모리공간을 나눈다. 2. 주소바인딩 - 주소바인딩이란? 프로세스가 접근해야 하는 값과 함수에 대한 주소가 정해지는 것 프로그램이 컴파일 되어 메모리에 올라간 후, ..
-
Deadlock학교 수업/OS 2020. 5. 7. 18:55
Process scheduling과 Process synchronization에 대해 배웠다면,이제는 Deadlock에 대해서 배워보자. 교착상태(Deadlock) 둘 이상의 프로세스가 더 이상 계속할 수 없는 어떤 특정 사건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 1) 교착상태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4가지 조건이 동시에 만족되어야한다. ① 상호배제(mutex exclusion) : 한 번에 한 프로세스만이 자원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② 점유와 대기(block and wait) : 자원을 일부 점유하면서 다른 자원을 기다리는 경우 ③ 비선점(non preemption) : 프로세스가 완료되기 전에는 자원을 회수할 수 없는 경우 ④ 환형 대기(circular wait) : 자원을 할당 받은 두 프로세스가 서로 할당된 자원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