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수업/네트워크
-
TCP와 IP data format학교 수업/네트워크 2020. 6. 22. 18:00
이전 포스팅에서 data format에 대해 설명하지 못했어서 따로 설명한다. IP : Network layer에 존재하는 프로토콜 IP 통신단위 : Packet (Datagram이라고 명칭) Datagram formatHeader : routing과 delivery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구조① Ver: IP버전을 기록, IPv4인지 IPv6인지② HLEN: header의 길이저장. 기본 Header 크기 20bytes + option있을 경우 -> header크기를 정확히 모르므로 데이터 시작부분을 알기 위해 저장. 전체길이/4의 몫을 저장한다.③ Service type④ Total length: Header 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포함한 IP패킷 즉 Datagram의 전체 길이를 바이트단위로 표시..
-
TCP/IP 4계층?학교 수업/네트워크 2020. 4. 30. 17:26
TCP/IP protocol suite - 개념 : OSI 7계층보다 먼저 개발된 네트워크 모델, 4계층으로 구성 OSI 7계층은 네트워크의 표준이 되기는 하지만, 네트워크가 OSI를 이용해 실제적으로 구현되는 예는 거의 없다. 실질적인 통신는 TCP/IP 프로토콜 모델을 기반으로 구현된다. - 각 계층별 설명(전 포스팅에서 설명한 OSI계층별 설명과 동일, 다른 점은 몇 개의 계층이 합쳐져 있다는 점)1. 데이터링크계층 - OSI 7계층에서 물리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에 해당 - 하드웨어적인 요소와 관련되는 모든 것을 지원하는 계층 - 송신측 컴퓨터의 경우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패킷에 물리적인 주소은 MAC 주소 정보를 가지고 있는 헤더를 추가하여 프레임을 만들고, 프레임을 하위계층인 물리 계층으로..
-
OSI 7계층?학교 수업/네트워크 2020. 4. 29. 17:51
OSI(Open systems innterconnection) - 개념 :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개발한 모델, 일반적으로 OSI 7계층 모형이라고 한다.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한 것. -> 즉,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 Protocl 프로토콜? 컴퓨터와 네트워크 기기가 상호 간에 통신하기 위한 규칙 - 계층 분류의 장점 1. 단순함공통된 기능을 하는 계층끼리 묶여있고 다른 기능을 하는 것들 끼리는 나뉘어져 있으므로 각각에 대해 설계하기 용이하고 유지 보수가 쉽고 간편 2. 유연성 각 층에 대한 수정 및 향상이 필요할 때 다른 계층과 별개로 해당 계층에 대해서만 수정 및 향상을 진행할 수 있음 - 계층 분류의 단점 많은 계층들로 인..
-
네크워크란?학교 수업/네트워크 2020. 4. 29. 17:15
네트워크(Network) - 개념 : 정보 전달을 위해 두 대 이상의 기기를 연결해,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것 - 네트워크 호스트(network host) :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 client(정보를 요청하는 쪽), server(요청 받는 쪽) - 네트워크랑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것을 인터넷(internet) 이라 한다. - 네크워크랑 네트워크를 연결시켜 주는 장비를 라우터(router) 라고 한다. - 네트워크는 호스트끼리 데이터 전달 방식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뉜다.1. 회선 교환 (Circuit switching) 방식 네트워크두명의 클라이언트가 하나의 링크를 공유(연결확립)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독점을 하고 있기 때문에 두 클라이언트가 통신이 끝나기 전까지 아무도 접근하지 못한다. 주로 ..